안녕하세요? 둥둥왕자입니다.
혹시 지하철을 이용하시다가 지하철 역사에
아래 사진처럼 설치된 보관함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?


주의 깊게 관찰하지 않으면
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거지만
알고 있으면 역사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
내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요긴한 물건인데요,
오늘은 지하철 역사에서 화재 발생 시
대처방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역사 화재발생 시 조치사항
1. 화재 경보
화재를 목격하였을 때
주변에 있는 화재 경보를 누르거나
소리를 질러 주변 사람들에게 알립니다.
역사는 많은 사람들이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
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알려 대피하도록 하는 것이
무엇보다 중요하겠습니다.
2. 화재 신고


다음은 화재 신고입니다.
위와 같이 승강장에 비상통화장치가 존재하는데요
버튼을 누르면 역 직원과 통화 연결이 됩니다.
신속하게 역 직원에게 상황을 전파하고
이와 더불어 119에 신속하게 신고해줍니다.
3. 초기 진화

만일 초기 진화가 가능하다고 판단이 되면
주변에 소화기를 가지고 초기 진화를 시도해
큰 불로 번지지 않게 하는 것도 좋겠죠!!
4. 역사 밖으로 대피
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것이 본인의 안전입니다.
불길이 거세게 타오르면 섣불리 끄려고 시도하지 말고 신속하게 대피해야겠습니다.
마스크, 수건, 옷 등으로 코와 입을 가린 채
자세를 낮추고 직원의 안내에 따라
역사 밖으로 안전하게 대피합니다.
역사 화재 발생 시 조치사항에 대해 알아봤는데요
이번에는 아까 맨 처음에 소개해드렸던
구호용품보관함(승객구호장비함)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?



구호용품보관함에는 위와 같이
화재용 마스크, 공기호흡기, 물과 면수건이 들어있습니다.
승강장과 대합실 곳곳에 설치되어 있고
서울 지하철에는 총 5개의 보관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.
위급상황 발생 시 유리를 도구나 발로
힘껏 깨뜨려 사용하시면 됩니다.


화재용 마스크는 화재 발생 시
연기와 유독가스로부터
생명을 보호하는 마스크입니다.
공기호흡기는 일반 승객이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
역 직원이나 소방대원이
승객의 대피를 돕기 위해 설치된 것입니다.
사실 사용법을 봐도 한 번에 숙지하기는 어렵겠네요...
물과 면수건은
화재용 마스크를 쓰기 곤란한 경우에
면수건에 물을 적셔 코와 입을 막고
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
비치한 도구입니다.
그럼 화재용 마스크는 어떻게 사용하는 걸까요?



화재용 마스크를 뜯으면
위와 같이 겉면은 은색으로 되어있고
빨간 정화통이 가운데에 박혀있는
마스크가 나옵니다.
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.
마스크를 펼쳐 얼굴에 쓰고
양 옆에 달린 빨간 끈을 잡아당겨
밑으로 유독가스가 새어 들어오지 않게 조여주면
착용이 완료됩니다.
착용 후 혹시나 앞에 정화통 구멍이
막혀있진 않은지 잘 확인해야겠습니다.
정화통을 통해 걸러진 공기로
숨을 쉬는 원리입니다.

위 사진은 역사 내 설치된
휴대용 비상조명등의 모습입니다.
승강장과 대합실 25m마다 벽면에 설치되어 있습니다.
만일 역사에 연기가 자욱하여
앞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데요,
아크릴 판을 열고 조명등을 뽑으면
불이 저절로 들어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 지하철 역사 내 화재 발생 시 대처방안과
구호용품보관함 내 물품 사용 방법,
휴대용 비상조명등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
혹시 모르고 계셨다면 열차를 기다리면서
이 역에 구호용품보관함은 어디에 있는지
가까운 소화기는 어디에 비치되어 있는지
확인해 보는 건 어떨까요?
무엇보다 이러한 화재 사고가
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.
지하철에서 안전은 가장 중요한 가치입니다!!
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*^^*
'Metr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etro 정보] 월곶~판교 복선전철 건설사업 소개 (1) | 2020.10.23 |
---|---|
[Seoul Metro] 서울 지하철 부정승차 단속 규정 알아보기(부가금 계산방법, 납부 방법 소개) (3) | 2020.10.03 |
[Metro 정보] 서울 지하철 물품 보관함(또타라커, T locker) 사용 방법 안내 (1) | 2020.09.16 |
[Seoul Metro] 65세 노인 연령 상향 논의 소식 관련하여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 문제 들여다보기(feat. 노인 무임승차 개선 방안 제시) (1) | 2020.09.14 |
[Metro 정보] 서울 지하철 역사 내 역무자동화 기기의 종류와 기능 소개(교통카드 발매기, 환급기, 판매기, 정산기) (1) | 2020.09.12 |
댓글